[기억합니다] 고 박준기님에게 올리는 아들 박명수씨의 글

 

2019년 맏손주 결혼식 때 함께한 아버님과 나  
2019년 맏손주 결혼식 때 함께한 아버님과 나  

아버님은 생전에 “ 내 친구들은 벌써 증손자를 무릎에 앉히고 자랑하던데 나는 언제쯤이나 될는지 모르겠구나 ”라며 자주 혼잣말처럼 되뇌셨습니다 . 이웃 친구가 증손자를 본 것을 시샘하는 말씀입니다 . 마침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 손주며느리가 아기를 가졌습니다 . 아버님께서는 이제 증손주를 보게 되었다고 얼마나 좋아하셨는지 모릅니다 .

그런데 호사다마 라고 했던가 . 그 몇 달 뒤 , 아버님은 갑자기 담도 결석으로 수술을 받게 되었습니다 . 그 길로 회복하지 못하신 채 여든여섯해 삶을 마감하셨습니다 . 2020년 7월이었습 니다 . 아버님이 세상을 떠난 뒤 79일 만에 증손자가 태어났습니다 . 끝내 증손자를 안아보는 소망은 이루지 못한 채 가신 겁니다 .

1935년 태어난 아버님은 어린 나이에 할아버지께서 일찍 돌아가시고 4 형제와 함께 어렵게 자랐다고 하셨습니다 . 결혼하고도 가정 형편이 나아지지 않자 고향을 등지고 저와 바로 아래 동생을 데리고 경기도 가평으로 이사했습니다 . 부모님은 두 분 다 일을 해야 했기에 어린 형제를 집주인 청년에게 맡기고 아침 일찍부터 나가셨습니다 . 아버님은 하루 종일 숯을 구워 서울 인근 시장에 내다 파셨고, 어머니는 화전민의 야산에서 채소를 키우거나 산나물을 뜯어다가 아침 일찍 열차를 타고 서울 인근 노점에서 파셨습니다 .

그러다 아버님에게 심각한 질병이 찾아왔습니다 . 병명조차 알 수 없었습니다 . 병 · 의원을 찾아다니며 치료를 받아 보았지만 전혀 차도가 없었습니다 . 결국 부모님은 가난을 해결하지 못한 채 가평 생활을 접어야만 했습니다 . 그런데 다시 고향 고창으로 돌아오니 그렇게도 힘들게 했던 질병이 깨끗이 나았습니다 .

아버님은 워낙 손기술이 좋고 재주가 많으신 분입니다 . 고향에는 아버님 기술이 필요한 일은 얼마든지 있었습니다 . 목수 , 이발 , 보일러 수리 , 두부제조 등 못하는 것이 없으셨습니다 . 생전 사시던 집도 아버님이 직접 손으로 지었습니다 .

2019년 고창 심원의 자택 화단에 물을 주고 있는 생전의 아버님 . 
2019년 고창 심원의 자택 화단에 물을 주고 있는 생전의 아버님 . 

아버님은 어머님을 먼저 떠나보내신 뒤 13 년 동안 손수 끼니를 챙겨드시며 홀로 사셨습니다 . 하지만 젊은 사람들 못지않게 항상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사셨습니다 . 건강을 위해서 움직여야 한다면서 소소하게 채소나 과일을 재배하셨고 말년에는 염소 몇 마리도 키우셨습니다 . 그 좋은 재주로 주변 사람들도 많이 도와주셨습니다 . 고향 동네 이웃들 대부분은 노인층이어서 생활에 불편한 일이 발생해도 수리할 사람이 없습니다 . 아버님은 동네의 유용한 일을 처리하고 수리해 주는 일을 도맡아 하셨습니다 . 주민들이 부르면 아버님은 그 즉시로 달려가 무보수로 처리해주셨습니다 . 보일러 , 전기 배선과 스위치 , 가전제품 연결 , 수도나 하수구 뚫기 등등 어디든 달려가 해결해주는 ‘월산리 박반장’ 같은 분이셨습니다 . 아버님이 소천하시기 2 주 전에도 옆집에 있는 블록 담장을 친히 쌓아주셨다 합니다 .

돌아가시고 나서야 자식된 도리를 다하지 못한 것 같아 참으로 죄스러운 마음입니다 . 아버님은 홀로 사시면서 병이 들어 아프셔도 우리들에겐 내색하지 않으셨습니다 . 6 명의 자녀들이 잘 사는 것만을 자랑스럽게 여겨주셨습니다 . 부모님의 깊은 사랑을 이제야 절감합니다 .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 하늘이 무너지는 고통 ” 이라 해서 천붕 이라고들 합니다 . 해를 거듭할수록, 생전의 손때 묻은 물건을 볼 때마다 아버님이 더욱 그립습니다 . 아버님이 수술 뒤 병상에서 하신 마지막 말씀은 “ 조심히 가라, 조심히 가 ”였습니다. 그 아버님이 보고 싶습니다 .

원고료를 드립니다-<한겨레>가 어언 35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인물팀(People@hani.co.kr).
원고료를 드립니다-<한겨레>가 어언 35살 청년기를 맞았습니다. 1988년 5월15일 창간에 힘과 뜻을 모아주었던 주주와 독자들도 세월만큼 나이를 먹었습니다. 새로 맺는 인연보다 떠나보내는 이들이 늘어나는 시절입니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탓에 이별의 의식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억합니다’는 떠나는 이들에게 직접 전하지 못한 마지막 인사이자 소중한 추억이 될 것입니다. 부모는 물론 가족, 친척, 지인, 이웃 누구에게나 추모의 글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함께 전자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한겨레 주주통신원(mkyoung60@hanmail.net), 인물팀(People@hani.co.kr).

* 이 기사는 2023년 1월 30일자 한겨레 지면에 실린 글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077410.html

편집 : 김미경 편집위원

박명수 주주  kosen21c@hanmail.net

한겨레신문 주주 되기
한겨레:온 필진 되기
한겨레:온에 기사 올리는 요령

관련기사 전체보기
저작권자 © 한겨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